자율주행 자동차(무인자동차)의 장점 및 단점
자율주행에 대한 의견이 여전히 찬반으로 나뉘어 대립을 이루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 가운데 전기차의 보급률은 높아지고 그와 함께 자율 주행 기반의 자동차로 생산이 되어 자율주행 자동차의 보급또한 증가하고있습니다.
아직도 의견이 분분한 자율주행! 장점과 단점에 대해 각각 알아보겠습니다.
장점
첫째, 아무래도 자율주행자동차의 가장 큰 장점은 위성으로 받아들이는 정보를 토대로 주행에 반영하기때문에 조절장치의 미세 조정이 가능하고 반복정지를 피하게 됩니다. 따라서 연료 효율에 최상의 도움을 주게됩니다.
둘째, 노인, 아동, 장애인 등 거동이 불편하거나 운전을 직접 할 수 없는 사람들도 이용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셋째, 장시간 운전으로 인한 피로를 덜어줄 수 있고, 교통사고의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는 것과 도로의 교통의 순환을 원활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또한 도로교통의 흐름이 빨라지고 교통 혼잡을 확연히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단점
첫째, 만약 주행 중인 차량의 대부분이 무인자동차이고, 이 자동차들이 모두 자율 주행으로 운행 중이었을 때, 자율주행 차량끼리 사고가 난다면 누구에게 책임을 물어야 하는지 현재 법률적으로 정해진 바가 미미하여 처벌과 그 기준이 모호한 단계입니다.
둘째, 또 GPS 기반으로 주행을 하지만 차량각각이 인터넷망으로 가동하게 되고, 넷상으로 접속하여 관리가 가능해진다면 해킹 또한 가능해져 테러나 공격 등의 수단으로 쓰일 수 있는 위험이 있습니다.
셋째, 또한 아직도 해결되지 못한 기술적인 문제가 있는데 바로 흰색 차량을 잘 감지하지 못하는 점입니다.
역시 자율주행 자동차의 상용화는 윤리적인 문제와 도덕적인 문제에 부딫혀 여전히 어려운 상황입니다.
지난 2010년 구글에서 첫 무인자동차를 공개하고, 전세계 자동차 회사들이 무인자동차 자율주행 기술개발에 뛰어들어 엎치락 뒤치락 완벽을 향해 달리고 있습니다.
기술의 개발
2013년 벤츠, 2014년에는 아우디가 자율주행 기술을 공개했는데요 특히 벤츠는 100Km 자율주행 성공을 알리기도 했습니다. 현재 마트에 가보면 심심찮게 차키나 버튼 하나로 차주는 내려서 후진으로 주차를 하는 광경을 목격하실 수 있습니다. 현재 개발 중인 기술 중에서는 신호등에서 무인자동차에 신호등의 색깔 정보를 보내면, 신호등이 적색인지 청색인지, 또 언제 신호를 받을 수 있는지 등의 정보를 받아 교통체증에 대응할 수 있는 것이 있습니다. 이처럼 무인자동차 기술의 진보는 한창 진행 중이므로 조만간 고속도로뿐만 아니라 도심에서 주행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는 말이 있습니다. 하지만 위에 설명드렸던 단점에 해당하는 문제나 윤리적인 문제에 의해 여전히 전체 상용화에 대해서는 불확실 성이 큽니다. 상용화까지는 시간이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할 것입니다.
상용화
중국 베이징 무인 택시 운영 2022년에 열린 베이징 동계올림픽에서는 전 세계 수도중 처음으로 유료로 무인자동차 운영을 실시했습니다. 사용 방법은 모바일 어플을 통해 운영하는 로보택시를 호출해 탑승할 수 있다고 합니다. 바이두 라는 기업은 현재까지도 무수히 많은 승객을 이동시키고 있고고, 포니AI는 중국과 미국에서 총 800만㎞를 테스트 기준을 통과했습니다.
'자동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차 교체 필요한 소비재들 (0) | 2024.02.19 |
---|---|
포드의 역사 (0) | 2023.10.19 |
전기차의 장단점 및 시장성과 안정성 (0) | 2023.10.18 |